본문 바로가기
생활 정보

전월세 계약시 주의사항 5가지 총정리 계약 체결 시 세입자가 확인해야 할 사항 및 법적 권리

by usrichman 2025. 4. 3.
반응형

월세 계약 전 반드시 알아야 할 5가지 🔍

전세에서 월세로 전환하는 사례가 급증하면서, 월세 계약을 준비하는 분들이 많아졌습니다. 특히 임대차 3법 이후 임대료 인상 제한 등으로 인해 월세 계약 시 주의해야 할 항목들이 늘어나고 있는데요. 오늘은 월세 계약 전 반드시 알아야 할 5가지 핵심사항을 정리해 드리겠습니다. 이 글을 끝까지 읽으신다면 월세 계약에서의 피해를 사전에 방지하실 수 있습니다.

 

1. 월세 납부 방식: 선납 vs 혼합

임대인들은 보통 월세를 미리 받는 선납 방식을 선호하지만, 임차인 입장에서는 선납과 후납이 혼합된 방식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. 특히 조기 퇴실 시 남은 월세를 돌려받지 못하는 사례가 많아 주의가 필요합니다.

▶️ 계약서에 월세 납부 방식 명시 필수!

2. 관리비 명확히 확인하기

최근 관리비를 임대료처럼 부풀리는 꼼수가 많아졌습니다.

  • 관리비에 부가세 포함 여부
  • 관리비 세부 항목
  • 경비 인건비, 청소비, 공용 전기료 등 포함 범위

특히 오피스텔, 다세대 주택의 경우 고지서 제공 없이 포괄적으로 청구하는 경우가 많으니 세부 내역 확인 요청은 필수입니다.

3. 입주 전 하자 및 인수품 확인

입주 전에는 반드시 사진 또는 영상 촬영을 통해 집 상태를 기록해두세요.

또한 리모컨, 출입카드, 열쇠 등 인수품 리스트를 작성하고 임대인의 서명을 받아야 추후 보증금 문제를 피할 수 있습니다.

 

4. 전입신고 & 장기수선충당금 체크

  • 오피스텔의 경우 사무용으로 등록된 곳은 전입신고가 어려울 수 있음
  • 전입신고 및 확정일자는 보증금 보호의 핵심
  • 장기수선충당금은 임대인 부담이 원칙이므로 나가기 전 반드시 환급 요청해야 합니다

5. 세액공제 & 소득공제 조건 확인

월세도 절세가 가능합니다!

  • 총급여 7천만원 이하
  • 무주택 세대주
  • 주택 기준시가 3억 이하 또는 전용면적 84㎡ 이하

조건을 충족하면 연간 최대 750만원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으며, 임대인이 협조하지 않을 경우 직접 현금영수증을 발급 신청할 수 있습니다. (국세청 홈택스 활용)

 

마무리

오늘 소개해드린 5가지를 꼼꼼히 확인하고 계약서에 명확하게 기재한다면, 월세 계약에서의 불이익을 충분히 예방할 수 있습니다. 전세계약에서 월세로 전환하는 이 시점에서 꼭 필요한 정보이니 주변에도 공유해 주세요.

반응형